티스토리 뷰
[제1장] 정보 환경
1. 정보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치 못한 것은?
① 데이터의 유효한 해석
② 데이터 상호간의 관계
③ 데이터를 처리해서 얻은 결과
④ 문자들로 표현되는 스트링
2. 한 조직체의 의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분배하는 수단을 무엇이라 하는가?
① 자료 처리 시스템 ② 정보 시스템
③ EDPS ④ 응용시스템
3. 다음의 정보 시스템들 중에서 기능 수행 목적 면에서 성격이 다른 것은?
① 경영 정보 시스템 ②. 군사 정보 시스템
③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 ④ 인사 정보 시스템
4. 한 부서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하여 주는 정보 시스템의 일부를 무엇이라 하는가?
① 응용 시스템 ② 응용 프로그램
③ 정보 시스템 ④ 자료 처리 시스템
5. 자료처리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치 못한 것은?
① 현실 세계로부터 수집한 사실 또는 값을 컴퓨터에 의한 자동처리 방법으로 처리한다.
② 유용한 정보를 생산하기 위한 도구로서 최대한 정보처리 시스템의 효율을 높인다.
③ 가장 정확한 최신의 정보를 적시에 제공하여 유용한 의사 결정을 하도록 한다.
④ 정보 추출 방법을 제공한다.
6. 자료 처리 시스템을 데이터가 조직되고 접근되는 방법에 따라 분류할 때 잘못된 것은?
① 일괄 처리 시스템 ② 동시 처리 시스템
③ 온라인 처리 시스템 ④ 분산 처리 시스템
7. 일괄처리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당한 것은?
① 데이터를 그룹별로 수집해서 정렬시켜 처리하는 시스템 중심의 자료처리 방법이다.
② 테이프나 순차 파일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업무에 적합하다.
③ 시스템 측면에서 볼 때 단위 시간당 처리되는 작업수가 적게 되어 시스템 생산성이 낮다.
④ 일괄처리를 위해 여러 가지 준비작업이 필요하다.
8. 일괄 처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업무에 속하지 않는 것은?
① 급여 지불 처리② 항공기 예약
③ 납세 고지서 업무④ 월 마감 회계 업무
9. 온라인 처리 시스템의 특징으로 부적당한 것은?
① 즉석 업무를 요구하는 특수 응용분야에 적합
② 통신 제어기가 필요
③ 일괄 처리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
④ 시스템 중심의 자료처리 시스템
10. 온라인 처리 시스템의 장점에 속하지 않는 것은?
① 데이터 기입에 따른 사무 작업량과 코딩작업이 절약된다.
② 자료 처리의 회전 주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.
③ 단위 시간당 처리되는 작업 수가 많게 되어 시스템 생산성이 높다.
④ 최신 데이터를 계속 유지할 수 있어서 효과적인 자료 처리 결과를 얻는다
11. 작업 수행의 논리적 단위를 무엇이라 하는가?
① 트랜잭션 ② 자료
③ 정보 ④ 지식
12. 분산 처리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?
① 분산 처리기② 통신망
③ 분산 데이터베이스④ 정보
13. 통신망에 있어서 모든 지역 처리기(local processor)들은 어떤 특정 통신 규약에 따라 통신하는데, 이 통신 규약을 가리켜 무엇이라 하는가?
① LAN② WAN
③ 프로토콜(protocol)④ 프로그램
14. 분산 처리 시스템의 장점에 속하지 않은 것은?
①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
② 현지 업무에 대한 책임 구분
③ 새로운 응용에 대한 모듈식 확장 곤란
④ 시스템 장애에 대한 신뢰성 증대
15. 사용자와 CPU간의 양방향 통신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상당히 빠른 응답시간이 필요한 시스템은 무엇인가?
① 오프라인 시스템② 일괄 처리 시스템
③ 온라인 시스템④ 분산 처리 시스템
[제2장] 데이터베이스 개념
1. 데이터 무결성이란?
① 데이터의 안정성 ② 데이터의 중복성
③ 데이터의 공유성④ 데이터의 정확성
2.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의 중앙통제를 할 때 장점은?
①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필요 없게 된다.
② 저장된 자료의 일관성 유지가 용이하다.
③ 장애 시 복구가 용이하다.
④ 보안에 대한 위협이 없어진다.
3.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다음 중 잘못된 것은?
① 데이터베이스는 통합된 데이터이다.
② 데이터베이스는 저장된 데이터이다.
③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운영 데이터이다.
④ 데이터베이스는 중복된 데이터이다.
4.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의 정의가 아닌 것은?
① 관리 데이터② 저장 데이터
③ 운영 데이터④ 공유 데이터
5.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할 때 적당치 못한 것은?
① 한 조직의 다수 사용자가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공용
데이터이다.
② 데이터베이스는 최소의 중복이 허용된 복합 데이터이다.
③ 존재 목적이나 유용성 면에서 꼭 필요한 운영 데이터이다.
④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뿐 아니라 파일 캐비닛
의 데이터도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다.
6.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의 등장 이유로 보기 어려운 것은?
① 여러 사용자가 데이터를 공유해야 할 필요가 생겼다.
② 데이터의 수시적인 구조 변경에 대해 응용 프로그램을
매번 수정하는 번거로움을 줄여 보고 싶었다.
③ 데이터 가용성 증가를 위해 중복을 허용하고 싶었다.
④ 물리적인 주소가 아닌 데이터 값에 의한 검색을 수행하고
싶었다.
7. 현대적 의미의 데이터베이스 개념을 확립한 사람은?
① 폰 노이만② 케머니
③ 바크만④ 크루츠
8.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?
① 실시간 접근성② 정적인 데이터
③ 동시 공유④ 내용에 의한 참조
9. 데이터베이스의 설명 중 부적합한 항목은?
① 중복되는 자료를 없애는 데 있다.
② 자료를 세분화시켜 세밀히 기억시키기 위한 것이다.
③ 단위 프로그램의 자료를 독립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.
④ 자료를 기억시키는 장치에 제한을 없애기 위한 것이다.
10. 다음 중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요소에 대한 것 중 성격이 다른 것은?
① 비트, 바이트② 애트리뷰트
③ 블록④ 실린더
11. 개체(entity)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치 못한 것은?
① 사람이 생각하는 개념이나 정보의 단위
② 파일 구성 측면에서 보면 레코드(record)에 대응된다.
③ 이름을 가진 데이터의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
④ 하나 이상의 속성, 즉 에트리뷰트로 구성
12. 한 속성(attribute)이 취할 수 있는 모든 값을 총칭해서 무엇이라 하는가.?
① 도메인(domain) ② 튜플(tuple)
③ 개체 타입(entity type) ④ 개체 어커런스(entity occurrence)
13. 아래의 설명에서 빈 공간에 들어가기에 적절한 것은?
'Study > DBMS >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racle 테이블 속성 (0) | 2013.03.25 |
---|---|
Oracle 테이블의 이름과 기본키등을 보는방법 (0) | 2013.03.25 |
Oracle 데이터베이스 2과 요점정리 (0) | 2013.03.25 |
Oracle 데이터베이스 1과 요점정리 (0) | 2013.03.25 |
Oracle 2007.10.08 강의내용 (0) | 2013.03.25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리눅스2.6
- 윤재석
- gdg watchfacehack
- 리눅스 커널 2.6 구조와 원리
- yjaeseok
- Jake Yoon
- GDG
- watchface
- 리눅스
- 안드로이드
- 창의과학교구
- 서버개발자
- 릴레이대회본선
- jakeyoon
- Developing on AWS
- 그래비트랙스
- AndroidWear
- 창조경제혁신센터
- 핸즈온머신러닝
- 하쭈서쭈
- jaeseokyoon
- 소설네트워크2
- gdgssu
- Linux
- 리눅스 커널 2.6
- 해커톤
- WatchFaceHack
- 숭실대
- 안드로이드폰
- GDG SSU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